지나간 주식 차트를 보며 '여기서 샀어야 해', '저기서 팔았어야 해' 하는 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입니다. 과거를 돌이켜 보면 모든 것이 당연해 보이는 사후확신편향을 갖게 되니까요. 하지만 주식매매는 과거형이 아닌 현재진행형입니다. 우리는 매 순간 차트의 가장 오른쪽에서 미래를 모른 채 의사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윌리엄 갠의 <차트로 주식 투자하는 법>이 저자의 명성에 걸맞지 않게 황당한 이유는 바로 여기 있습니다. 지나간 차트를 보여주며 "이 지점에서 공매도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거나 "상승 시그널이 포착되었으므로 매수하기 좋은 자리였다"는 식으로 글을 썼으니 말입니다. 자세히 알아보니 저자의 명성은 과하게 부풀려져 있었더군요. 그는 본인의 주장과 달리 트레이딩으로 큰 돈을 벌지 못 했을 뿐만 아니라 생전에 트레이딩으로 가족을 부양하는 것조차 실패했다고 합니다. 그는 트레이더라기보다는 정보에 목이 마른 대중을 상대로 책이나 강좌 따위를 파는 사람이었습니다. 강좌의 가격이 현재 우리 돈으로 수천만 원에 달했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저자를 폄훼하거나 책 전체를 하찮은 것이라고 치부할 수는 없습니다. 비록 본인은 사시에 패스하지 못 했지만 사법고시를 가르치는 좋은 선생님들이 있는 것처럼 자신은 트레이딩으로 돈을 벌지 못 했지만 실전에 필요한 지식을 가르치는 사람들도 있게 마련이니까요. 그의 글을 읽어보면 실제로 저자가 트레이딩과 관련한 상당한 지식을 갖고 있던 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주식시장과 트레이딩의 원리를 이해하고 있었죠. 다만 본인은 트레이딩으로 돈을 벌기에 실천력이 부족했나 봅니다.


<차트로 주식 투자하는 법>을 읽으며 놀랐던 건 100여 년 전에 쓰인 책이 오늘날에도 꼭 들어맞는다는 점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은 정보를 갈구합니다. 단독으로 행동하는 것을 두려워해서 누군가가 종목을 콕 집어주기를 바라죠. 그렇게 남의 말을 듣고 덜컥 주식을 매수합니다. 그러고는 조금만 주가가 오르면 홀랑 팔아버리고 조금만 주가가 내려도 안절부절하지 못 하며 손절을 주저합니다. 고점에 사서 물리고 저점에서 손절하는 개미의 패턴은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기술적 분석조차도 100여 년 전이나 지금이나 유의미합니다. 저항과 지지는 결코 허무맹랑한 개념이 아니며, 거래량은 예나 지금이나 주가의 그림자 역할을 합니다. 어째서 이런 일이 가능한 걸까요? 그건 아마 인간의 변하지 않는 본성 때문일 것입니다. 바로 희망, 두려움, 탐욕이 그것이죠. 이 세 가지를 지닌 인간은 시간이 흘러도 똑같은 행동을 반복합니다. 우리가 미래를 알기 위해 과거를 공부하는 이유인 것이죠.


인간이 만들어내는 시장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영화 <이퀼리브리엄>처럼 우리 모두에게서 누군가가 감정이라는 요소를 떼어가지 않는 이상 말입니다. 그러므로 '시장이 변하면 어떡하지?'라는 걱정은 기우입니다. 만약 시장이 변해서 주식시장에서 더 이상 수익을 내지 못 할 것이 걱정된다면 아마도 그건 여러분의 매매 방식이 통시적인 시장의 원리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개별적 특수성에 기대고 있기 때문일 겁니다. 시장의 커다란 원리는 변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변하지 않는 원리에서 수익을 창출해낼 수 있는 툴을 개발할 수 있는지, 또 그것을 제대로 실천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그게 바로 고수와 하수를 가르는 디테일의 차이고요.


사람들이 흔히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라는 말을 관용적으로 쓰긴 해도 그것이 갖는 진짜 의미를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아직도 고수익률만 보여주면 이면의 리스크는 이해하지 못 하고 수익률이 전부인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면 말이다.


주식시장에서 수익률을 이해하려면 반드시 리스크를 고려해야 한다. 거기서 리스크 대비 보상비율이라는 개념이 나온다. 위험 조정 수익률이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리스크 대비 보상비율에 지나치게 함몰되면 ETF 투자 등에 빠지기 쉽다. 왜냐하면 타임프레임을 길게 늘여놓고 시장 인덱스를 살펴보면 손실을 입을 확률이 0에 수렴하기 때문이다. (리스크를 '손실을 입을 확률'로 해석하나 '불확실성'으로 해석하나 둘 다 0에 수렴하는 건 사실이다) 다시 말해 리스크가 0이니, 리스크 대비 수익률이 무한대라는 뜻이다. 리스크 대비 보상비율이 무한대라는 건 최고의 투자 아닐까. 의사 출신인 똑똑한 systrader79님이 궁극적으로 ETF에 빠지게 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소음과 투자>도 비슷한 메시지를 던진다. 시장이 떠드는 얘기를 듣지 말고, 분산투자하고 장기투자하라는 얘기다. 왜냐하면 장기적으로 주식시장은 우상향하니까. 분산투자는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서인 것이고. 데이비드 드레먼의 <역발상 투자>와 같은 맥락에서 시장 소외주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긴 하지만 결국 메시지는 달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한 자릿수 연수익률을 기대하고 주식시장에 뛰어드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요즘은 100세 시대여서 그런지 모아놓은 자산이 많지 않은 이상 60대조차도 한 자릿수 연수익률에 별로 만족하지 못 한다.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이 무한대인 건 좋지만 그래도 주식시장에서 연 6-7% 기대수익률은 너무 낮은 것 아닌가. 심지어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미국 시장과 달라서 타임프레임이 5~10년 된다고 무조건 수익을 낼 수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1989년의 코스피 고점을 2005년이나 되어서 돌파한 걸 사람들이 알기나 할까? 자그마치 16년 만이라고!! 그조차도 남들은 강남 아파트 값이 2배가 됐다, 3배가 됐다 떠드는 걸 전부 견뎌내고 얻는 수익률일텐데 정말 너무한 것 아닌가 싶다.


결국 워렌 버핏이 하는 말로 되돌아온다. 무슨 주식을 사야 할지 모르겠다면 펀드에 돈 맡기지 말고 그냥 S&P500 ETF나 사라는 조언. 고리타분하게, 혹은 안전하게 재테크할 생각이라면 그게 맞는 것 같다. 하지만 미안하게도 우리의 일반적인 기대치는 그게 아니다. 연 6-7% 벌 생각이었으면 애초에 주식을 시작하지도 않았다. 주식이나 포커나 베팅한 만큼 먹는 거다. 그게 바로 트레이딩이 흥미로운 이유다.

+ Recent posts